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자역 예선은 2024년 9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진행하며,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46개국이 참가합니다. 이번 대회부터 아시아에는 8장의 본선 직행 티켓과 1장의 대륙 간 플레이오프 티켓이 주어 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시아 지역 예선의 방식, 각 국가의 주요 선수와 감독 및 현재 순위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

  • 1차 예선: FIFA 하위 20개국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맞붙어 승리한 10개국이 2차 예선에 진출합니다.
  • 2차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10개국과 상위 26개국, 총 36개국이 4팀씩 9개 조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릅니다. 각 조 1위와 2위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하며 동시에 2027년 AFC 아시안컵 본선진출권을 획득합니다.
  • 3차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8개국이 6팀씩 3개 조로 추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릅니다. 각 조 1위와 2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3위와 4위 팀은 4차 예선을 치르게 됩니다.
  • 4차 예선: 3차 예선 각 조의 3위와 4위 팀, 총 6개국이 3팀 씩 2개 조로 단판 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참여하며, 2위 팀은 5차 예선을 치르게 됩니다.
  • 5차 예선: 4차 예선 각 조의 2위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맞붙어 승리한 팀이 대륙 간 플레이오프에 참여합니다.

아시아 국가 대표팀 감독과 키플레이어

A조

이란

  • 감독: 아미르 갈레노이
  • 키 플레이어: 메흐디 타레미 (포르투), 사르다르 아즈문 (로마)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카타르

  • 감독: 틴틴 마르케스
  • 키 플레이어: 알모에즈 알리, 하산 알하이도스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2022년 자국 개최)

우즈베키스탄

  • 감독: 스레츠코 카나네츠
  • 키 플레이어: 엘도르 쇼무로도프 (로마)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UAE (아랍에미리트)

  • 감독: 파울루 벤투
  • 키 플레이어: 알리 마브쿠트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키르기스스탄

  • 감독: 막심 리시친
  • 키 플레이어: 미르란 무르자에프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북한

  • 감독: 신영남
  • 키 플레이어: 한광성
  • 월드컵 최종 성적: 8강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B조

대한민국

  • 감독: 홍명보
  • 키 플레이어: 손흥민 (토트넘), 김민재 (바이에른 뮌헨), 이강인 (PSG)
  • 월드컵 최종 성적: 4위 (2002년 한일 월드컵)

이라크

  • 감독: 헤수스 카사스
  • 키 플레이어: 알라 압둘자흐라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요르단

  • 감독: 자말 셀라미
  • 키 플레이어: 무사 알타마리, 야잔 알라이마트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오만

  • 감독: 라시드 자베르
  • 키 플레이어: 모하메드 알가푸리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팔레스타인

  • 감독: 마크람 다부브
  • 키 플레이어: 오다이 다바그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쿠웨이트

  • 감독: 후안 안토니오 피치
  • 키 플레이어: 유세프 나세르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1982년 스페인 월드컵)

C조

일본

  • 감독: 모리야스 하지메
  • 키 플레이어: 카오루 미토마 (브라이턴), 타케후사 쿠보 (레알 소시에다드)
  • 월드컵 최종 성적: 16강 (1998, 2002, 2010, 2018, 2022년)

호주

  • 감독: 토니 포포비치
  • 키 플레이어: 해리 수타르 (레스터), 아워 매빌
  • 월드컵 최종 성적: 16강 (2006년 독일 월드컵)

사우디아라비아

  • 감독: 에르베 르나르
  • 키 플레이어: 살레 알셰흐리
  • 월드컵 최종 성적: 16강 (1994년 미국 월드컵)

바레인

  • 감독: 드라간 탈라지치
  • 키 플레이어: 압둘라 헤랄
  • 월드컵 최종 성적: 월드컵 본선 실패

중국

  • 감독: 브란코 이반코비치
  • 키 플레이어: 우레이 (상하이 하이강)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2002년 한일 월드컵)

인도네시아

  • 감독: 신태용
  • 키 플레이어: 위탄 술라에만
  • 월드컵 최종 성적: 조별리그 탈락 (1938년 네덜란드령 동인도 시절)

현재 순위 (2024년 11월 20일 기준)

A조 순위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이란6510125+716본선 직행
2우즈베키스탄641185+313본선 직행
3아랍에미리트6312124+8104차 예선
4카타르62221017-784차 예선
5키르기스스탄6114613-74
6북한602459-42

B조 순위

순위팀명경기수득실차승점비고
1대한민국6420125+714본선 직행
2이라크632153+211본선 직행
3요르단623195+494차 예선
4오만620469-364차 예선
5쿠웨이트6042511-64
6팔레스타인603348-43

C조 순위

순위팀명경기수득실차승점비고
1일본6510222+2016본선 직행
2호주614165+17본선 직행
3인도네시아613269-364차 예선
4사우디아라비아613266064차 예선
5바레인6132510-56
6중국6204616-106

본선을 향한 열정과 도전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단순히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는 경쟁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곳은 축구의 성장과 가능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이번 대회에서 아시아는 기존 4.5장에서 8.5장으로 확대된 본선 진출권을 받았습니다. 더 많은 팀이 본선의 진출의 꿈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3차 예선에는 전통의 강호와 신흥 강팀들이 재미있는 경합을 벌이고 있습니다. 일본, 이란, 한국, 호주와 같은 전통 강팀은 조 1위와 조 2위로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시에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중국 등은 새로운 역사를 위해 도전 정신을 앞세워 예선을 치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팀워크, 그리고 스타 선수들의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손흥민, 메흐디 타레미, 카오루 미토마 같은 선수들은 팀의 중심을 잡고, 감독들의 용병술 또한 빛을 발하며 예선전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월드컵 본선은 단순한 행사가 아닙니다. 자신의 국가를 대표하는 참가자와 그들의 참가를 반겨주는 무대이며, 선수들에게는 최고의 무대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아시아 팀들이 월드컵 본선에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는 성과를 보여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아직 예선의 길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팀이 본선을 향해 나아가는 여정 속에서 함께하는 응원은 큰 힘이 될 것 입니다. 예선을 함께 지켜보며, 월드컵 본선을 확정하는 그날 까지 같이 즐기는 축제가 되었으면 합니다.

https://www.fifa.com FIFA 홈페이지

Leave a Comment